분류 전체보기24 건강보험 정산 보험료 분할납부 신청하기 건강보험 공단 정산보험료 분할납부 신청하기1. 건강보험 EDI로 접속합니다.https://edi.nhis.or.kr/ 건강보험공단 EDI포털edi.nhis.or.kr 2. 사이트에 공인인증서 로그인 3. 신고/신청> 정산보험료 분할납부 신청서 4. 당월고지내역 불러오기 5. 몇개월 분할납부할건지 근로자에게 물어보고나서 분할횟수 란에 분납 개월수를 입력합니다.최대 분할 가능 횟수는 12회 입니다. 건강보험은 매년 4월 전년도 보수총액을 근무월수로 나눈 금액이 4월부터의 보수월액으로 설정되고, 전년도에 확정된 소득에서 건강보험요율을 곱한 값 [확정보험료]에서 [기납부 보험료]를 빼서 차액을 구합니다. 확정보험료가 기납부 보험료보다 더 크다면 더 납부해야할 건강보험료가 고지되고, 기납부보험료가 확정보험료 보.. 2025. 4. 18.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프리랜서·유튜브 수익 신고는 어떻게 할까? 실무를 하다 보면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이거 기타소득인가요? 아니면 사업소득으로 신고해야 하나요?”특히 프리랜서, 리워드 활동, 블로그 광고, 일회성 컨설팅처럼반복성과 대가성이 모호한 수익은 기준이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기타소득과 사업소득의 구분 기준부터, 간이지급명세서 제출 기한,인적용역 판단 기준, 유튜브·블로그 수익 신고 방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1.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어떻게 구분하나요? 구분 기타소득 사업소득 소득의 성격 일시적·비반복적 지속적·반복적 .. 2025. 4. 1. 퇴직연금 DC형 vs DB형 차이, 어떤 제도가 유리할까? 회사와 직원 입장에서 총정리 안녕하세요.이번시간에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DC형과 DB형 둘 중 회사와 직원의 입장에서 어떤게 더 유리한지 비교 정리해보고,퇴직연금 관리기관(벤더사) 비교까지 해보았습니다.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의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한 제도입니다.회사가 일정 금액을 적립해두고, 퇴직 시 근로자가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되며,대표적인 제도로는 **확정급여형(DB형)**과 **확정기여형(DC형)**이 있습니다.퇴직연금, 제도 도입은 의무일까?퇴직연금제도 자체는 사업장의 선택 사항입니다.즉, 회사가 DB형이나 DC형을 꼭 도입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기존 퇴직금 제도를 유지하더라도퇴직금 재원은 외부 금융기관에 반드시 ‘사외적립’해야 하는 의무는 존재합니다... 2025. 4. 1. 2025 통상임금 완전정리 – 평균임금과 차이, 출산·육아휴직 산정 기준, 명절상여금 포함 여부? 안녕하세요.2024년 12월 통상임금 해석 변경으로 통상임금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저도 실무하면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라 정리해보았습니다.생일축하금, 명절상여금 등 포함 여부부터 출산휴가·육아휴직 급여 산정 기준,평균임금과의 차이, DC퇴직연금 연관성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1.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기본 개념부터 항목 평균임금 통상임금 정의 사유 발생일 전 3개월간 총임금 ÷ 총 일수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 임금 적용 사례 퇴직금, 휴업수당, 산재보상 .. 2025. 3. 3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