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실무2 연장·야간·휴일근무수당 총정리 (교대근무자의 야간근무수당 포함) 안녕하세요.오늘은 실무에서 정말 자주 받는 질문인교대근무자의 야간근로수당 지급 여부와 계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특히, "야간수당을 꼭 줘야 하는지", "휴가로 대체해도 되는지"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아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의 정의와 기준부터 3교대 근무 시 적용 예시까지 정확하게 안내드립니다.가산수당 정리: 연장근무수당, 야간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은 언제 발생하나요?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는"이게 연장근무인가요? 야간수당도 주나요?"라는 부분입니다.아래 내용을 통해 각각의 수당이 언제 발생하고, 어떤 기준으로 계산되는지 먼저 정리해드립니다.1. 연장근무수당정의: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해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급가산 기준: 통상임금의 50% 추가 가산예시: 하루.. 2025. 3. 31. Gross Up(그로스업)이 뭐예요? 외국계 급여 담당자가 알려주는 실무 계산법 Gross Up(그로스업)이 뭐예요? 외국계 급여 담당자가 알려주는 실무 계산법Gross Up은 실수령액을 보장하기 위해, 회사가 세금까지 계산해 지급하는 방식입니다.특히 외국계 기업에서는 외국인 급여나 세후 보장 계약에서 자주 등장하는 실무 개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Gross Up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떤 부분을 주의해야 하는지를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1. Gross Up이란?직원에게 세금 공제 없이 ‘정확한 금액’을 지급해주고 싶을 때,그 세금을 포함해 총 지급액을 역산해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즉, 실지급액이 100만 원이면, 회사는 역산하여 약 112만 원을 지급하고,세금 12만 원은 회사가 대신 납부합니다. ✔ 핵심 요약: 실수령액을 고정하고, 세금은 회사가 부담 2.. 2025. 3.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