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2 2025 통상임금 완전정리 – 평균임금과 차이, 출산·육아휴직 산정 기준, 명절상여금 포함 여부? 안녕하세요.2024년 12월 통상임금 해석 변경으로 통상임금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저도 실무하면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라 정리해보았습니다.생일축하금, 명절상여금 등 포함 여부부터 출산휴가·육아휴직 급여 산정 기준,평균임금과의 차이, DC퇴직연금 연관성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1. 평균임금 vs 통상임금, 기본 개념부터 항목 평균임금 통상임금 정의 사유 발생일 전 3개월간 총임금 ÷ 총 일수 정기적·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고정 임금 적용 사례 퇴직금, 휴업수당, 산재보상 .. 2025. 3. 31. 연차수당 정산 완전 정리 – 입사일 기준 vs 1월 1일 기준, 정산방법과 계산법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급여 실무자들이 매년 부딪히는 핵심 이슈인 연차수당 정산 기준과 계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특히 입사일 기준으로 운영하는 사업장과, 1월 1일 기준으로 운영하는 사업장의 차이점은 실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1. 연차휴가 발생 기준: 입사일 기준 vs 1월 1일 기준1) 입사일 기준입사한 날을 기준으로 1년 단위로 연차휴가가 발생근로기준법상 원칙적인 기준이며, 연차 발생일이 직원마다 다름대체로 중소기업이나 인원 적은 사업장에서 사용2) 회계연도(1월 1일) 기준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일괄 연차 발생인사관리/ERP 시스템 상 편의성 때문에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에서 많이 사용법적으로 위법은 아님. 단, 불이익이 없도록 관리해야 함 ※ 어떤 기준을 적용하든 1년간 80%.. 2025. 3. 31. 이전 1 다음